고려대 Smart Microgrid Lab에서 MS, PhD, 통합과정 연구실 인원을 모집합니다. 전력계통, AI, 최적화, 스마트그리드에 열정 있는 분을 환영합니다.
We are a research group focusing on the next generation of intelligent power distribution systems.
Our key areas of interest focus on smart grids, microgrids, and the planning and operation of advanced distribution systems. We also focus on the integr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data-driven prediction, optimization, protection, and stability analysis into modern power systems. Through these efforts, we aim to create smarter, more resilient, and sustainable power networks by combining engineering fundamentals with computational methods.
[2025.07.30]
IEEE PES General Meeting에서 WMU 및 ADMS 기반 진동대책 관련 패널 발표 (최승연 교수)
미국 오스틴에서 개최된 2025 IEEE Power & Energy Society General Meeting (PES GM)에서 "Oscillation Countermeasures Based on Synchro-Waveform Technology and ADMS"를 주제로 발표했다. Synchro-Waveforms Data Analytics and Applications in Power Distribution Systems 패널 세션에서 진행되었으며, (AMPS) Distribution System Analysis 위원회가 주관하였다.
시각동기파형측정장치(WMU) 기반 차세대 광역감시시스템(WAMS)을 소개하고 이를 이용한 고주파수 진동 발생위치 검출 알고리즘을 설명했다. 진동원 위치가 배전망 내부에 있을 경우 송전망 단독 감시로는 식별이 어렵다는 점을 지적하며 ADMS (Advanced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와의 협조방안을 제안하였다.
[2025.07.18]
2025 대한전기학회 하계학술대회에서 재해재난 상황 마이크로그리드 최적운영 관련 논문 발표 및 논문상 수상 (손용주 박사과정)
2025년 대한전기학회 제56회 하계학술대회에서 ‘재해재난으로 인한 고장 대응을 위한 MISOCP 최적화 기반 독립 마이크로그리드 운영 방안’을 주제로 발표했으며 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
재난 발생 시 마이크로그리드가 자율적으로 독립 운영될 수 있도록 MISOCP (Mixed-Integer Second-Order Cone Programming) 기반의 2단계 최적화 알고리즘을 제안했다. ESS 및 수소저장장치(HESS), 부하 차단 등 다양한 자원을 통합해 복원력 향상을 극대화하는 것이 핵심이다. IEEE 123 Test Bus 기반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알고리즘의 성능을 검증했으며, Yalmip와 Gurobi를 이용한 최적화 해석을 적용해 실시간 대응 가능성도 확인했다.
[2025.06.20]
IEEE IAS Annual Meeting에서 GAN 기반 SSO 합성데이터 생성을 통한 딥러닝분류성능 향상 관련 논문 발표 (손용주 박사과정)
대만 신베이시에서 개최된 2025 IEEE IAS Annual Meeting & I&CPS-Asia Conference에서 'GAN-based SSO Synthetic Data Generation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Deep Learning Classification Models' 주제로 발표했다.
SSO의 특성상 실제 데이터 확보가 어렵다는 점을 지적하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GAN(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을 활용한 합성 데이터 생성 방식을 적용해 딥러닝 분류 모델의 학습 성능을 향상시키는 전략을 제안했다. K-means 클러스터링과 1D-2D 변환 기법을 융합한 DCGAN 아키텍처를 통해 다양한 진동 패턴을 고품질로 생성하였으며, Prony 분석 기준 92.3% 유사도 및 최대 46배 향상된 데이터 생성 속도를 달성해 모델 성능과 연산 효율성 측면에서 우수한 결과를 입증했다.
[2025.06.20]
IEEE IAS Annual Meeting에서 STATCOM 기반 강화학습 제어기법을 활용한 진동억제 관련 논문 발표 (윤영걸 박사과정)
대만 신베이시에서 개최된 2025 IEEE IAS Annual Meeting & I&CPS-Asia Conference에 참석해 'Deep Reinforcement Learning-based Robust Control with STATCOM for Mitigating Sub- and Super-synchronous Oscillations' 주제로 발표했다.
인버터에 의한 전력계통 진동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기존 고정형 제어기로는 실시간 대응이 어렵다는 문제를 지적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STATCOM 기반의 강화학습 제어 프레임워크를 제안했다. DDPG(Deep Deterministic Policy Gradient) 알고리즘을 활용해 q축 전류 기준을 실시간으로 조정함으로써 평균 95.7%의 진동 억제 성능을 달성했다. 이 방식은 기존 제어기에 비해 불확실성에 대한 적응력과 계산 효율성 면에서도 우수한 성능을 보였고, 향후 HILS (Hardware-in-the-Loop Simulation) 기반 실계통 적용을 통해 실시간 운용성과 기술 안정성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2025.06.12]
IEEE PES 웨비나에서 차세대 전력계통 감시 기술 발표 (최승연 교수)
IEEE Foothill Section이 주관하는 웨비나에서 'Bridging Innovation and Infrastructure: Korea’s Power Grid Monitoring Project Based on Synchro-Waveform' 주제로 발표했다.
한국에서 진행되는 '직류 송배전시스템 확대 대응 전력계통 안정도 감시 기술 개발' 과제를 소개하고 고해상도 감시장치인 WMU를 이용한 광역감시시스템(WAMS)에 관해 설명하였다. 인버터 기반 자원(IBR)으로 인해 발생하는 비정상적인 진동 및 이상 현상 감지가 가능함을 강조하였고 고도화된 감지 기술, 데이터 분석 기술, 통신 프로토콜 등을 결합한 감시 시스템을 소개하였다.
[2025.04.15]
NASPI 워크그룹에서 시각동기파형 기반 차세대 전력계통 감시시스템 관련 발표 (최승연 교수)
미국 미네소타주 미니애폴리스에서 개최된 NASPI (North American SynchroPhasor Initiative) Work Group Meeting에서 'Next-level WAMS Based on Synchro-waveform to Address Emerging Stability Issues'를 주제로 발표했다.
컨버터 안정도와 같은 신규 안정도 문제를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는 WMU 기반 광역감시시스템(WAMS)의 필요성과 구조에 대해 설명했다. 컨버터 안정도 문제는 고주파수 대역에서 발생하여 기존의 PMU나 RTU와 같은 측정 장비로는 감시가 어렵다는 점을 지적하며, WMU와 같은 고해상도 측정 장비를 활용한 해결 방안을 제시하였다.
[2025.04.01]
119억 규모 ‘직류 송배전시스템 확대 대응 전력계통 안정도 감시 기술 개발’ 과제 협약
산업통상자원부(전문기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이 추진하는 315억 원 규모 '전력계통 대전환을 위한 직류 송배전 감시·해석 기술개발' 국책사업의 1세부 과제 '직류 송배전시스템 확대 대응 전력계통 안정도 감시 기술 개발'(연구비 119억 원)를 2025년 4월부터 2029년 3월까지 4년간 주관하게 됐다.
해당 국책사업은 고려대학교, 한국전기연구원, 한전KDN에서 총 3개 세부과제를 주관하고 20여 개 산학연 기관이 참여하고 있으며, 1세부 과제에는 고려대학교를 비롯한 10여 개 기관(신성산전, 라온프렌즈, 한국스마트그리드협회, 한국전력거래소, 한국전기연구원, 연세대, 한양대, 포항공과대학교, 한국공학대)이 공동으로 참여한다.
1세부 과제는 직류송배전 설비가 연결된 전력망에서 발생하는 고주파수 진동과 계통의 불안정을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도록, WMU를 활용한 권역 및 광역 전력계통 안정도 온라인 감시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이 목표다. 이를 위해 실시간 온라인 감시체계 구축, 전력계통의 온라인 상황인식 기술 개발, 안정도 감시체계 검증 기술 개발, 고도화된 감시 시스템 설계를 수행할 예정이며 이를 위해 필요한 WMU(Waveform Measurement Unit)와 WDC(Waveform Data Concentrator)의 시제품을 개발하고 관련 표준화 작업도 함께 병행할 예정이다.
[2024.10.24]
KIEE 추계학술대회 한일공동세션에서 계통광역 감시기술 발표 (최승연 교수)
대한전기학회(KIEE) 전력기술부문회 추계학술대회 한일공동세션에서 'New Grid Visibility for Dynamic Wide-area Situational Awareness'를 주제로 발표했다.
인버터 기반 자원(IBR) 증가로 인해 발생하는 광역 진동과 불안정성 문제를 지적하며, 이를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는 고해상도 시각동기파형측정장치(WMU)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기존 PMU보다 향상된 동기화 기술과 샘플링 속도를 활용한 WMU는 보다 정확한 진동 분석, 이벤트 위치 식별, 고장 분류 등에 활용될 수 있음을 설명했다. 나아가, WMU를 활용한 동적광역상황인식(D-WASA) 시스템의 적용 필요성을 제시했다.
[2024.07.22]
IEEE PES GM 에서 해상풍력을 고려한 하이브리드 송전망 확장계획 관련 논문 발표 (우현 박사과정)
미국 시애틀에서 개최된 2024 IEEE Power & Energy Society General Meeting (PES GM)에서 'Hybrid AC/DC Transmission Expansion Planning Considering Offshore Windfarms in Korea' 논문을 발표했다.
본 논문은 한국형 해상풍력 발전의 대규모 연계 확대를 위한 송전 인프라 계획 전략을 제시한 것으로, 전압 안정도 및 과도 안정도를 동시에 고려하여 해상풍력 전력의 수용 능력(hosting capacity)을 향상시키고, 잉여 전력을 대도시 부하 중심지로 효율적으로 송전하기 위한 AC/DC 하이브리드 송전망 확장 계획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 AC 계통 내 유연 교류 송전 시스템(FACTS)의 최적 설치 위치를 도출함으로써 계통 연계 용량과 여유도를 개선하였고, 이후 과도 안정도 조건 하에서 고전압직류(HVDC)의 최적 운전점 설정 전략을 제시하여, 해상풍력 전력이 AC/DC 계통 전체에 안정적으로 분산·송전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